Ready? 日常史 취향 개발 프로젝트
레오퐁은 익숙한 일상과 대중문화에 질문을 던져, 생각의 지평을 넓히는 단서들을 아카이빙합니다. 사실에 기반한 탐구와 깊이 있는 공감을 통해 잠들어 있던 취향을 발견해보세요. 영화를 보는 시선, 도시를 걷는 발걸음이 조금 더 깊어집니다.
-
사실들 미국 보건복지부(HHS), ‘Our Epidemic of Loneliness and Isolation’ 보고서
데이터 / 통계“외로움과 고립은 뇌졸중이나 관상동맥 질환 발병 위험을 약 30%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회적 고립이 건강에 미치는 해악은 하루에 담배 15개비를 피우는 것과 유사한 수준이며, 치매 발병 위험을 약 50% 높인다.” “The mortality impact of being socially disconnected is similar to that caused by smoking up to 15 cigarettes a day, and even greater than... -
맨체스터 바이 더 씨
2016과거의 비극으로 인해 감정적으로 얼어붙은 채 살아가던 리 챈들러(케이시 애플렉). 형의 죽음으로 조카의 보호자가 되어 고향 마을로 돌아오게 되면서 억눌렸던 슬픔과 마주하게 됩니다. ‘결로’처럼 맺혔다 흩어지는 리의 내면적 고통과 치유의 과정을 섬세하게 풀어냅니다.
-
사실들 한겨레, “1인 가구 20% 고독사 위험…지역사회 ‘그물망’이 고립 막을까” – 임재희 기자, 2023.09.18.
기사 / 보도“보건복지부가 18일 공개한 ‘고독사 위험군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11∼12월 표본 조사에 참여한 1인가구 9471명 가운데 2023명(21.3%)이 고독사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역·성·연령에 따라 무작위 추출한 19살 이상을 대상으로 했는데, 이를 전체 1인가구(717만명)로 환산해보면 고독사 위험군은 약 152만5천여명으로 추정된다. 전체 인구 기준으로는 3% 규모다.” -
그래비티
2013광활하고 적막한 우주는 외부 세상과 철저히 단절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녀는 이 속에서 자신의 내면적 고통(과거의 상실)과 마주하게 됩니다. 영화는 라이언 스톤 박사(산드라 블록)가 외부의 도움 없이 오직 스스로의 의지로 고독과 불안을 극복하고 다시 삶의 중력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
키워드 단열
斷熱, Insulation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행위.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지혜. 나만의 가치와 평온을 지키는 힘. 건강한 '자기 보호'를 위한 '마음의 경계' 설정. 고립의 벽이 될 수 있는 위험성
-
사실들 미디어생활, “우리 국민 10명 중 3명 사회적 고립 느껴” – 정은경 기자, 2024.02.22
기사 / 보도“우리 국민 10명 중 3명은 사회적 고립감을 느낀다는 결과가 나왔다. 통계개발원이 발표한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사회적 고립도는 33.0%로 나타나 19세 이상 국민 10명 중 3명이 넘는 사람들이 자신이 사회적으로 고립되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고립도는 여성(31.0%)보다는 남성(35.2%)이 더 높게 나타났다.” -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003도쿄에서 우연히 만난 중년의 배우와 젊은 여성이 낯선 환경에서의 '고립감'과 '외로움'에 서로 공감하게 됩니다. '고립'이 곧 '소통'의 계기가 되는 셈이죠.
-
키워드 결로
結露, Condensation내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수증기가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 지속될 경우 구조체의 부식, 곰팡이 번식 등 치명적 하자로 이어짐.내면과 외부 세상 사이의 온도 차이로 생기는 갈등. 작은 결함, 작은 차이, 작은 문제이나 멈출 수 없을 때 발생하는 모든 갈등.
-
캐스트 어웨이
2000무인도에 표류하게 된 주인공 척(톰 행크스)이 홀로 생존하며 겪는 고립과 투쟁을 그립니다. 극한의 고립 상황에서 주인공이 외부 세계와의 연결을 갈망하고, 내면을 지키려는 노력이 '평온'과 '고립' 사이의 경계를 탐색하게 만듭니다. 개인의 생존과 내면의 변화에 집중합니다.
-
그녀
2014외로운 작가 테오도르의 내면적 고립과 외부(현실)와의 단절, 그리고 사만다(AI)를 통한 소통 시도가 '단열'과 '환기' 사이의 갈등과 조율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특히 현실과의 '경계' 설정에 대한 개인적 질문이 핵심 주제와 깊게 연결됩니다.
-
인사이드 아웃
2015영화 <인사이드 아웃>은 '환기'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탁월한 은유입니다. 낯선 환경에 던져진 주인공 라일리의 내면이 외부 세계와의 '온도 차'로 혼란을 겪는 모습은 마치 '결로' 현상과 같습니다. 처음에는 '기쁨'이 '슬픔'을 억지로 막으려 하지만, 이는 오히려 더 큰 문제를 만듭니다. 결국 모든 감정이 제 역할을 하도록 소통의 문을 여는 '환기'를 통해 라일리는 비로소 안정을 되찾고 한 뼘 더 성장합니다.
-
사실들 전원속의내집, “패시브하우스의 기밀과 열교환환기장치”
원리 / 정의“주택이 기밀해지면 에너지절감과 벽체 내 결로현상 감소라는 순기능이 있지만, 사람에게 필요한 환기량이 부족해 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밀성을 고도화한 패시브하우스에서는 기계식환기장치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기계식으로 환기를 하다 보니 좀 더 기술을 덧붙여 나가는 공기와 들어오는 공기의 열을 서로 기계 내에서 교환하는 열교환환기장치(폐열회수환기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
사실들 파이낸셜 타임즈, “왜 지적 겸손이 중요한가 (Why intellectual humility matters)” – Jemima Kelly, 2022.09.01
전문가 의견 / 비평“지적 겸손이란 우리 자신의 인지적 한계와 편견을 기꺼이 인식하고, 옳은 것보다는 문제의 진실을 이해하는 데 더 관심을 갖는 자세라 할 수 있습니다. … 철학과 심리학의 교차 분야인 사회 인식론 분야의 마르코 마이어와 마크 알파노는 그들의 연구에서, 이 미덕(지적 겸손)을 지닌 사람들이 정확한 뉴스와 가짜 뉴스를 훨씬 더 잘 구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Intellectual humility can be...